급여인상 언제 해줘야 하는 건가요? 매년 꼭 해야하나요? 얼마나 올려줘야 하나요? 똑같이 다 올려줘야 하나요? |
“5만원이든, 10만원이든 다 똑같이 올려줘야죠.” 급여인상을 요구하는 한 병원 직원이 중간관리자에게 하는 말입니다. 모두 다 10만원씩 똑같이 올려줬다고 합니다. 급여인상 똑같이 해야 할까요?
인상 금액을 똑같이 해야 하나를 생각하기 전 급여 조율을 하는 이유를 다시 한번 생각해봅시다. 직원들의 동기와 장기근속을 위해서 기여한 직원과 기여하지 못한 직원들을 평가하고 보상과 기회제공여부에 대해 고민하는 기회라고 했습니다.
인상 금액 기준은 어떻게 정하나요?
병원마다 인상 금액 기준이 다를 겁니다. 동일한 금액으로 인상하는 경우도 있을테고 동일한 비율로 인상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기여도에 따라 비율을 정해 인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러분의 병원은 어떤 기준을 적용하나요?
동일한 금액으로 인상하는 경우를 보겠습니다. 모든 직원에게 5만원을 올려준다고 해봅시다. 받는 급여 금액이 다르다 보니, 같은 금액이라도 직원에 따라 낮게 혹은 적정한 금액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또 병원운영에 기여한 직원과 기여하지 않은 직원이 있을텐데 기여한 직원은 이것밖에 라는 생각을 할테고, 기여하지 않은 직원은 이거라도 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비율로 인상하는 경우를 보면 모든 직원에게 동일하게 5%를 올려준다고 보겠습니다. 급여가 높은 직원에게 5%와 급여가 낮은 직원의 5%는 금액 차이가 현저하게 차이가 납니다. 급여가 높은 직원이라도 기여도가 낮을 수 있고, 급여가 낮은 직원이라도 기여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
일을 하는 역량과 태도가 다른데, 동일하게 똑같이 적용하는 것이 공평일까요?
기여도를 파악하고 급여인상을 생각하자.
기여한 직원과 기여하지 못한 직원에 대한 인상 금액을 똑같이 하는 게 적절 할까요?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병원운영이 변화될 때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반영에 애쓰고 고객을 응대한 A직원이 있습니다. 보완해야 할 프로세스에 대해서 의견을 제시하고 행동으로 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반면 B직원의 경우 새로운 것을 해야할 때 가장 마지막에 마지 못해서 진행을 하고, 일을 할 때도 불평불만을 표현해서 주변 직원들과 고객들을 불편하게 했습니다.
A와 B직원 똑같이 5만원이든, 10만원이든 동일하게 인상해야 할까요? 똑같이 인상되었다는 사실을 혹시라도 알게 될 경우 A직원은 계속 열심히 일할까요?
그렇지는 않을 겁니다. 적극적으로 해도 열심히 하지 않은 직원과 같은 보상을 받는 다고 생각하면 다음에는 노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동일하게 급여를 인상한다고 공평은 아니다
병원마다 급여인상금액을 정하는 기준을 다를 겁니다. 동일한 금액 또는 비율로 인상하는 곳이 있고, 기여도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곳도 있겠습니다. 이 방법이 옳고 저 방법은 틀렸다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본인의 일에 책임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는 직원이 그에 맞는 보상을 받았다고 여기고 계속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또한 역량을 충분히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지 않는 직원들이 열심히 한 직원과 동일하게 대우를 받아 능동적인 직원들이 조직에서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