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대기시간도 급여가 지급되는 근무시간에 해당되기때문에
근무 시간 중 자리 비움은 근무태만으로 인사적 문제로 연결될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근무 중 자리 비움과 대기시간
1. 근무 시간 중 자리 비움이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유
병원 내에서 언제든지 일을 시작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시간은
급여가 지급되는 근무시간으로 간주됩니다.
예를 들어, 간호사가 병동에서 환자 호출을 기다리거나
의사가 응급 상황에 대비해 대기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됩니다.
병원에서 정당한 사유 없이 자리를 비우는 것은 근무태만으로 간주되며
이는 경고, 징계, 또는 임금 삭감 등의 인사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대기시간의 종류와 처리 방법
1) 급여가 지급되는 대기시간(근무시간으로 간주)
병원 내에서 즉시 응답이 필요한 상황으로 환자 호출에 대비해 대기하는 상황
병원에서 특정 장소에서 대기하도록 지시한 시간으로 치료 준비를 위해 치료실 근처에서 대기하는 상황 등
2) 근무시간에 포함되지 않는 대기시간
개기 중이지만 병원 밖에서 자유롭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대기시간은
근무시간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근무 종료 후 집에서 비상 호출을 기다리는 시간도 근무시간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근무시간 중 자리 이탈 시 처리 방법
1) 무단 자리 이탈에 대한 규정
근무 시간 중 허가 없이 자리를 이탈하는 것은 병원 규정 위반으로 간주되며
징계나 임금 삭감 등의 제재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이탈 시 처리 절차
피치못할 개인적인 사유로 자리를 비워야 할 경우
예상시간과 함께 사전에 상사나 해당 부서에 보고하고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화장실 등 잠시 자리를 비울때에도 부재시 찾는 상황 등을 예방하기 위해 공유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탈 이유를 기록해 두어야 추후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병원 근무 시간 중 정당한 사유 없이 자리를 이탈하는 것은 병원 규정 위반으로 간주되므로
병원 규정과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며 병원의 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인사 노무와 관련된 문제는 여러 기준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으므로,
전문가와 상의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운영, 병원직원교육 등 추가로 궁금하신 점은 아래로 문의주세요↓↓
★★메디구루 병원경원 오픈카톡(무료) 바로 가기★★